라우터 주소 설계
<Rotute path="/worksapce/:workspace" component={Workspace} />
콜론(:)기호를 이용해 라우터에서 URL 파라미터로 이용할 수 있다.
Route역시 우선순위가 존재한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라우트를 항상 맨 위에 두도록
URL파라미터와 절대 경로를 같은 경로에 혼용하는 경우, 반드시 절대경로를 위쪽에 두어야 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특정 라우터로 이동하는 로직을 짤 때
if(isSatisfied) <Redirect to="path"/>
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create 요청을 Post를 통해 수행할 때. 3번째 인자 객체에 설정을 넣어 전달할 수 있다. 해당 설정에 withCredentials를 통해 쿠키를 공유할 수 있고, 해당 쿠키는 이 요청을 누가 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URL 파라미터는 useParams();라는 훅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URL 파라미터를 통해 URL만 보아도 대략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URL 자체가 하나의 상태가 된다.
에러 처리는 console.dir(e)로 하면 콘솔에서 보기가 더 편하다.
없는데이터로 map처리하면 error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map 메서드 앞에 '?'를 넣어준다.
array?.map()
revalidate()는 데이터 변경 후 다시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초대 모달 만들기
한 페이지에서 모달을 닫는 함수는 하만 두어서 관리하면 편하다.
RESTful APIPOST, GET과 같은 동사를 먼저 앞에 사용하고, 뒤에는 명사를 사용한다.
'Lecture > slack 클론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7-06 :: 메뉴와 모달 만들기2 (0) | 2021.07.06 |
---|---|
2021-07-04 :: 메뉴와 모달 만들기1 (0) | 2021.07.04 |
2021-07-04 :: 로그인, 회원가입 만들기3 (0) | 2021.07.04 |
2021-06-28 :: 로그인, 회원가입 만들기2 (0) | 2021.06.28 |
2021-06-24 :: 로그인, 회원가입 만들기1 (0) | 2021.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