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otative image는 사물 그 자체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그 이상의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보통 image making에 기본이 되며, 다른 요소들을 추가해 의미를 부여해서 connotive image를 만들 수 있다.
denotative Imagemaking을 할때 그 물체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고민해보자.
그 종류로는 형태, 색, 질감, 요소들 간의 비율이 될 수 있다.
denotative Image는 정적인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의 형태 역시 그럴 것이라 착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까만 선으로만 표현한 사과는 denotative Image이다. 그리고 물감을 이용해 색, 질감, 입체감을 부여한 사과 역시 denotative Image이다. 또한, 온전한 사과가 아닌 반으로 쪼개진 사과, 한입 배어문 사과, 줄기만 남은 사과 역시 denotative Image라고 할 수 있다.
imagemaking의 테크닉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때문에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혼란이 올 수 있지만 그럴 때는 무작정 그려보자.
가장 간단한 형태의 이미지를 그려본 다음 이미지의 각 요소들을 변형해보자. 또한 여러개의 테크닉을 섞으며 실험을 해보자.
line quality
그리는 도구에 따라 선의 느낌이 바뀐다.
color
어떤 식으로 색을 표현할 것인가.
cropping
물체를 가깝게 혹은 멀게 표현할 수 있다.
texture
질감
low tech
스캔이나 복사
3important aspects of image
process, generation, iteration
process
have clear image, idea -> can imagine
accentuate
Iteration
redraw same image
practice, mastering certain tech
Generation
making many objects
same tone -> give depth
Assignment
experiment with variety of imagemaking techniques
to create a range of images of a single household 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