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웹 개발 기초 스태틱 컨텐츠 MVC(템플릿 엔진을 이용해 html을 동적으로 구성) API: JSON으로 내려주는 방식, 데이터만 내려주면 view단에서 알아서 구성 또한 서버끼리 소통할 때도 API를 사용한다. 정적 컨텐츠 spring boot는 static content를 기본으로 제공한다. url은 /resources/static폴더 안의 파일명으로 접근하면 된다. 요청은 톰캣이 먼저 받는다. 스프링 컨테이너에서는 항상 컨트롤러가 먼저 우선순위를 갖는다. hello-static과 관련된 컨트롤러가 없는 경우 /static 경로에서 해당되는 파일을 찾고 존재하는 경우 랜더링 해준다. MVC와 템플릿 엔진 view는 화면 구성만 담당한다. model이라는 구조에 데이터들을 담아서 view에 넘겨준다. controll.. Spring 프로젝트 환경설정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 Java 11 IDE: IntelliJ 자바 11로 변경하기 1) sudo vi ~/.bash_profile 입력하고 비번 입력 sudo vi ~/.bash_profile Password: 2) i 눌러 INSERT 모드로 전환하고 export 행의 버전 11로 변경 export JAVA_HOME=$(/usr/libexec/java_home -v 11) 3) ESC 키를 누르고 :wq 입력해서 저장후 종료 4) source ~/.bash_profile 입력 (source 명령어로 변경된 패스를 실행한다.) source ~/.bash_profile 5) 변경된 버전 확인 java -version java version "11.0.11" 2021-04-20 LTS *다른 방법 Fil.. 메이븐으로 스프링 시작하기 메이븐 설치 터미널에서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하려면 PATH환경 변수를 설정 해 주어야 하지만, homebrew를 통해 maven을 설치해서 이에 대한 설정을 생략한다. https://mkyong.com/maven/install-maven-on-mac-osx/ 메이븐 프로젝트 생성 IntelliJ 메이븐과 그레이들 모두 동일한 폴더 구조를 사용한다. 처음 project wizard에서 Maven을 선택해 메이븐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자동으로 기본 파일 구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메이븐 프로젝트 설정 파일을 작성한다. 메이븐 프로젝트의 핵심은 pom.xml 파일이다. 모든 메이븐 프로젝트는 프로젝트의 루트 폴더에 pom.xml 파일을 갖는다. pom.xml은 메이븐 프로젝트에 대한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 이전 1 2 3 다음